퀘벡거주자는 연방정부 Federal CRA (Canada Revenue Agency)와 주정부 RQ (Revenu Quebec) 두곳에 모두 세금신고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2018년 소득세 신고, 레비뉴퀘벡에서 발표한 새로운 혹은 변경된 크레딧 중 베스트 5입니다. Home Buyers’ Tax Credit: 2018년에 거주의 목적으로 처음 주택을 구매하신분께 최고 750불의 크레딧이 주어집니다. 이번택스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크레딧으로 이전해에는 연방정부에서만 받았던 소득공제액과 동일하게 바뀐제도입니다. RenoVert Tax Credit: … Continue reading 75개의 공제액과 50개의 크레딧, 레비뉴퀘벡 2018년 개인소득세 신고
세금신고는 꼭 해야하나요? 혼자서도 할수 있을까요?
2018년 개인소득세에 대한 세금신고 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4월 30일까지 하라는 세금신고, 나도 꼭 해야 하나요? 세금신고는 캐나다에서 소득이 발생하지 않았어도 매년 보고를 해야합니다. 또한 캐나다 영주권이나 시민권자가 아니여도, 캐나다에서 거주를 하시는분들은 세금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세금신고시의 혜택은, 저소득으로 간주될경우 부가세 환급 (GST/HST Credit & Solidarity Tax Credit) 을 받으실수 있고, 또한 아이 양육비 (Child Care Benefit … Continue reading 세금신고는 꼭 해야하나요? 혼자서도 할수 있을까요?
Second Chance! (세무보고 자진신고)
캐나다 세무보고, 모르고 미신고 하거나, 잘못 신고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정정신고나 미신고가 페널티를 초례할경우, 캐나다 세무청에는 이에 대해 자진신고를 통해 벌금과 기소를 면제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자진신고의 대상은 Income Tax Act 에 준수하지 않은경우로 주로, 과세대상의 소득을 보고하지 않은경우, 해외자산이나 소득을 보고하지 않은경우, 비지니스를 하시는분들께서는 청구하지 말아야할 지출처리나 페이롤/세일즈택스 관련 정부 납부를 하지 않은경우가 … Continue reading Second Chance! (세무보고 자진신고)
이번 연말에도 이웃과 나누기 위한 기부를 했습니다. 기부금 영수증으로 세금공제도 되나요?
연말에는 특히 기부를 더 하게되는 시즌인데요, 기부금영수증만 잘 챙기시면 개인신고시에 약간의 공제혜택을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 연방정부에 $200불에 대해서는 15%, 그이상의 금액에 대해서는 29%를 공제액으로 신청하실 수가 있습니다. (퀘백 $200은 20%, 그이상은 24또는 25.75%) 자주 받는 몇가지 질문과 답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한국에서의 기부금도 공제혜택이 있나요? 캐나다 Charity로 등록된 기관에 하신 기부금만 공제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 Continue reading 이번 연말에도 이웃과 나누기 위한 기부를 했습니다. 기부금 영수증으로 세금공제도 되나요?
월급이 계약한 금액보다 적어요. 페이스텁에 차감액들은 뭔가요? 맞게 계산된건가요?
캐나다에서 경제활동을 시작하시는 학생분들이나 이민자분들께서 많이 주시는 질문입니다. 분명 xx불로 하기로 했는데 받은 월급수표는 내 계산보다 금액이 적고, 이QPP, QHSF등의 차감액은 무엇인지 알수없어서 답답했던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번 기사가 궁금증을 해결해드릴 것 입니다. Paystub(또는 Payroll Statement)은 페이받으실 때마다 고용주가 의무적으로 직원에게 주는 서류입니다. 위의 페이스텁을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먼저 Salary또는 hourly wage란에는 일하는 조건에 동의하신 금액이 있어야합니다. … Continue reading 월급이 계약한 금액보다 적어요. 페이스텁에 차감액들은 뭔가요? 맞게 계산된건가요?
세무청에서 왜 지급액을 돌려달라고 할까요?
세금신고가 거의 처리가 된 후 한가한9-11월사이에 특히 자주 주시는 문의사항입니다. GST/HST Tax Credit이나 Solidarity Tax Credit, 또는 Canada Child benefit/Quebec Child assistance관해서 받으시는 편지가 대부분이신데, 그 이유는 캐나다에서 베네핏을 측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세금신고를 깜빡하고 안했더니, 여름부터 베네핏이 안나와서 부랴부랴 늦게 신고를 해보신 경험이 있으신지요? 세금신고를 하시면, 신고시 명시한 자녀의 수와 … Continue reading 세무청에서 왜 지급액을 돌려달라고 할까요?
캐나다 세무법상의 거주자/비거주자, 왜 중요할까요?
캐나다의 복지정책의 하나인 Child Care Benefit (CCB) 는 영주권/시민권과는 상관없이 캐나다 거주 18개월 이상이면 신청하실수 있습니다. 같은 맥락으로, 캐나다에서는 영주권이 없더라도 캐나다에 관광의 차원이 아니라 거주의 목적으로 살 경우, 캐나다에 세금신고의 의무가 발생합니다. 만약, 캐나다를 떠날 경우는, 캐나다 비거주자로 캐나다에 비거주자 세금보고의 의무가 있을수 있습니다. 거주자와 비거주자, 어떻해 분리될까요? 우선 1차적 연결고리로, 캐나다 세무청에서 판단하는 … Continue reading 캐나다 세무법상의 거주자/비거주자, 왜 중요할까요?
치아미백도 의료비 공제 받을수 있을까요?
2018년 10월17일 캐나다에서 공식적으로 Cannabis가 합법화됩니다. 치료목적의 Cannabis는 이전에도 구매가 가능했었는데요, the Access to Cannabis for Medical Purposes Regulations or section 56 of the Controlled Drugs and Substances Act 에 따른 절차를 거쳐 구매되었다면 이 역시도 의료비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의료비영수증은 챙겨두셔야하지만, 조금 긴가민가한 항목들을 아래와 같이 추려보았습니다. Yes! 시력교정 레이저수술, 출산전후 트리트먼트, 입원비용, … Continue reading 치아미백도 의료비 공제 받을수 있을까요?
캐나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양육비 신청 프로그램(Child Benefit)
출산과 육아, 정말 힘들고 끝이 없다는 말로도 부족할때가 많습니다. 그래도, 캐나다에서는, 부모의 경제적 부담감을 줄이고자, 소득에 따라 양육비 보조금액이 나오는데요, 이주를 생각하시거나, 캐나다에 오신지 얼마 안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캐나다 연방정부와 각주의 아이 양육비 프로그램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연방정부 Child Care Benefit (CCB) 보통, 캐나다에서 태어난 아이는 병원에서 Birth Certificate등록과 CCB등록서류를 작성하게 됩니다. … Continue reading 캐나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양육비 신청 프로그램(Child Benefit)
세무청 리뷰
개인소득세신고에 대한 리뷰요청이 (Post-Assessment) 곧 시작된다고 합니다. 이 리뷰는 세무감사와는 다른것이고, 보통은 임의적으로 선택되어져서 받으시는 편지입니다. 리뷰 편지가 반가운 편지는 아니지만, 받으신 편지에 잘 대응을 하시면, 향후 몇년간은 리뷰요청이 낮다고 합니다. 세금신고 하신분들은 아시다시피, 캐나다 세금신고는 증빙제출이 없는 자진신고입니다. 따라서, 세무청에서는 고의적으로나 단순한 실수로 잘못 보고되어지는 세금신고를 줄이기 위해서 리뷰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리뷰 … Continue reading 세무청 리뷰